레이블이 명작스캔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명작스캔들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12년 3월 11일 일요일

명작스캔들: 로댕의<칼레의 시민>




[스캔들 1] 로댕의<칼레의 시민>은 칼레 시민들을 화나게 했다?
-<칼레의 시민>을 보고 칼레 시민들이 격렬하게 항의한 이유는?

근대 조각의 아버지 로댕. 그의 작품 <칼레의 시민>은 14세기 백년전쟁 때 프랑스의 칼레시를 구한 숭고한 영웅들의 기념상이다. 그런데 <칼레의 시민>은 칼레 시민들을 모욕한 작품이다? 로댕은 1884년 칼레시로부터‘칼레의 영웅들’을 기리기 위한 작품을 만들어 달라는 의뢰를 받는다. 칼레시는 백년 전쟁 당시 영국군으로부터 시민 모두가 몰살당할 위기에 처한다. 그때 시장을 비롯한 시민 대표 6명이 교수형을 각오하고 스스로 목에 밧줄을 감고 나오면서 시민들은 살아날 수 있었다. 로댕의 <칼레의 시민>은 바로 그 순간을 생생하게 표현한 작품이다. 그런데 로댕의 작품은 시민들이 생각했던 영웅의 모습과는 전혀 달랐는데... 힘차고 당당한 모습의 영웅이 아닌 죽음을 눈앞에 둔 불안과 절망에 찬 모습으로 표현되었던 것. 기대했던 것과 다른 영웅의 모습에 시민들은 외면해 버리고 결국 <칼레의 시민>은 칼레 시청 광장이 아닌 다른 곳에 세워졌다. 과연 로댕이<칼레의 시민>을 통해 나타내고자 것은 무엇일까? <칼레의 시민>에 숨겨진 뒷이야기를 파헤쳐본다.



[스캔들 2] 차이콥스키의 <비창>은 그의 죽음을 예견했다?
-암울한 4악장, 그의 죽음이 드리워져 있다?

러시아를 대표하는 작곡가 차이콥스키. 교향곡 제 6번 <비창>은 그의 작품 중에서도 특히 대중들에게 사랑받는 곡이다. 그런데 <비창>은 그의 죽음을 예견했다? 1893년 10월, 차이콥스키는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자신의 지휘로 <비창>을 초연 한 후, 9일 만에 급사했다. <비창>은 그의 죽음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데... <비창>을 작곡할 당시 자신의 오랜 후원자였던 폰 메크 부인과의 연락도 끊어지고, 그가 가장 아꼈던 동생 알렉산드라의 죽음으로 그는 몹시 힘들어했다. 그의 우울함에서 비롯된 듯 깊은 슬픔과 처절한 통곡이 느껴지는 <비창>은 차이콥스키의 마지막 작품으로 죽음을 연상케 하는 분위기마저 느껴진다. 차이콥스키가 동생에게“이 최후의 교향곡이 마치 나 자신을 위한 진혼곡처럼 느껴진다”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기도 했다. 평생 우울하게 살았던 차이콥스키. 자신의 인생 자체를 음악으로 표현한 교향곡 제 6번<비창>에 숨겨진 스캔들을 취재했다.



오늘 명작스캔들의 주제는 "break through" 인 듯하다...
멋지네~
훌륭한 연구도 이렇게 후세에 더 유명해지는건가...


2012년 3월 5일 월요일

명작스캔들 <투란도트>

[스캔들2] 오페라 <투란도트> 원작에는 ‘류’가 없다?
-  <투란도트>에 등장하는 하녀‘류’는 푸치니가 지어낸 인물이다?!
이국적인 정취와 화려한 이탈리아 아리아가 돋보이는 작품, 오페라 <투란도트>! <투란도트>는 이탈리아 작곡가 푸치니의 대표작으로, 18세기 베니스 극작가 카를로 고치의 희극을 각색한 작품이다. 그런데 오페라의 등장인물 중, 칼라프 왕자를 위해 헌신하는 하녀‘류’가 원작에는 없는 인물이라는데?!.. 1909년, 푸치니는 집에서 일하던 하녀 도리아 만프레디와 스캔들에 휘말렸다. 푸치니의 아내 엘비라가 하녀 도리아와 푸치니의 관계를 의심한 것이 사건의 발단이다. 엘비라의 끊임없는 추궁에 도리아는 결백을 주장한 뒤 자살했고, 괴로워하던 푸치니는 그 후, <투란도트>를 작곡한다. 그런데, 하녀 도리아의 안타까운 죽음은 공주의 온갖 고문에도 왕자와의 의리를 지키며 죽어갔던 작품 속‘류’의 운명과 닮아 있다. 그렇다면 혹시... 푸치니는 원작에 없던 ‘류’라는 인물을 만들어 하녀 도리아를 작품에 투영한 것은 아닐까. 인간적인 고뇌가 묻어나는 작품<투란도트>에 얽힌 비화를 파헤쳐본다!

2012년 2월 12일 일요일

명작스캔들



[스캔들 1] 들라크루아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속 주인공은 매춘부다?
- 가슴을 훤히 드러낸 그림 속 주인공은 매춘부를 모델로 한 것이다?
프랑스의 낭만주의 대표화가 들라크루아. 그가 그린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은 프랑스의 7월 혁명(1830년)을 나타낸 그림이다. 그런데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속 주인공은 매춘부다? 그림 전면에는 가슴을 훤히 다 드러낸 여신이 혁명의 깃발을 들고 시민군을 이끌고 있다. 그런데 그녀에게는 겨드랑이 털이 묘사되어 있다. 예술작품에는 머리카락 이외는 털을 그리지 않았기 때문에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속 주인공은 매춘부를 모델로 그린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았는데... 들라크루아는 혁명에 참가하지 못한 안타까운 마음에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을 그렸다. 그림 속 여신은 ‘자유, 평등, 박애’라는 가치를 의인화한 상징적인 인물‘마리안느’다. 들라크루아는‘마리안느’를 그림 속에 넣음으로써 7월 혁명을 영원히 기념하고자 했던 것이다. 들라크루아의 상상력 속에서 재탄생 된 7월 혁명.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 속에 얽힌 숨은 뒷이야기를 밝혀본다.

-------
일요일 오전 괜찮은 교양프로그램~ <명작스캔들> 
이번주는 사회교과서 '프랑스 대혁명' 설명에 나오는 그림이 스캔들 대상이었다. ㅎㅎ
완전 익숙한 이 그림~ 
이 그림에 그런 숨은 비화들이 있다니, 신기하네- 
학교 다닐 때도 이렇게 <명작스캔들>처럼 수업하면 좋았을 것을~

그림의 특징 중에서 프랑스 국기 색인 레드,화이트,블루가 그림 여기저기에서 보색대비를 이루고 있다고 한다. 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