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딜레마
실제로 두 선택이 상호배타적인 관계에 있지 않는데, 선택을 강요하는 경우
의학은 XX가 어떻게 완치됐는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하고, 설명할 수 없는 완치는 기적이다. 따라서 XX가 어떻게 완치됐는지 의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으면 기적이랄 수 밖에 없다.
성급한 일반화
적은 수의 사례로 근거를 지나치게 성급하게 일반화 시켜 결론을 끌어낸다.
"침은 효과가 대단해. 내 동생이 침을 맞고 담배를 끊었다니까."
훈제청어
상대의 관심을 현재 논의되는 주제에서 딴 곳으로 돌리는 것
"뾰족한 막대기를 갖고 놀지 말아라. 자칫하면 다친다."
"이건 막대기가 아니에요. 아빠. 이건 레이저 총이라고요."
대인논증
어떤 주장이나 논증 자체가 아니라 논증을 제시한 사람에게 가해지는 공격
좌파인물이 참석한 토론에서 밀턴 프리드먼의 이론이 토론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받아들일만 하다고 주장했다고 해보자. 이때 반대자가
프리드먼의 이론을 분석해서 단점을 근거로 반박하지 않고 프리드먼은
우파 경제학자이므로 그의 이론은 재고할 가치조차 없다고 반발한다.
cf. 위선의 비판, '피장파장 논증'
A가 어떤 주장을 했을 때 A의 성향을 이유로 그의 주장까지 무시해서는
안된다. A가 자신이 진실이라고 주장한 대로 행동하지 않는다면
그의 행동이 주장과 모순되므로 A가 위선적으로 행동한다고 할 수 있지만,
그의 논증이 무효가 되는 것은 아니다.
권위에 호소하기
(전문가 의견이 의심스럽고 설득력이 부족하다고 밝혀진 경우, 전문가가
관련된 문제와 이해관계에 있는 경우, 전문가가 자신의 전공분야가 아닌
문제에 대한 의견을 피력한 경우)
순환논증
"하느님은 존재해. 성경에서 그렇게 말하고 있잖아."
"그런데 왜 우리가 성경을 그대로 믿어야 하지?"
"왜냐고? 성경은 하느님의 말씀이니까!"
인과관계의 혼동
어떤 사건이 시간적으로 앞섰다는 이유만으로 다른 사건의 원인이라
단정하면 안된다.
군중에 호소하기
X를 마셔보세요. 캐나다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맥주니까!
지금껏 동성의 결혼을 법률로 인정한 나라는 없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동성결혼을 인정해서는 안된다.
(사례를 들어서 근거를 제시하는 것은 다른것? )
구성의 오류와 분할의 오류
무지에 호소하기
1. 어떤 주장이 틀렸다고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주장이 맞다고 결론짓는 형태
2. 어떤 주장이 맞는다고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그 주장이 틀렸다고 결론짓는 형태
미끄러운 비탈길 (slippery slope)
논의중인 주제에서 관심을 돌려 달느 문제를 고려하게 만드는 오류
우리가 A를 받아들이면 B라는 결과가 뒤따르고, 그후에 C,D라는 결과가 차례로
뒤따른다.
- 미국에는 총기 휴대를 규제하는 법을 제정하면 또 다른 것을 규제하는 법이
제정될 것이고, 이런 식으로 뭔가를 규제하는 법이 끝없이 제정되면서 결국에는
미국이 전체주의 국가로 전락할 거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 무상복지 시리즈: 무상급식, 무상의료, 무상교육 ....
연막치기 (smoke screen)
허수아비 논증의 오류 (fallacy of straw man)
상대의 논증을 깨뜨릴 수 없다면 상대의 논증을 볼품없는 것이라고 해석해서
토론을 승리로 이끌 수 있다.
동정에 호소하기
X에게 가해진 압력이 너무 심해서, X가 그렇게 행동할 수 밖에 없었다는 걸
누구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공포에 호소하기
위협이나 그밖의 수잔을 동원해서 공포를 조장하는 수법
- 너는 사형제도에 반대하낟. 하지만, 네가 전기의자에서 구해낸 범죄자에게
너 자신이나 네 자식이 희생당하면 생각이 바뀔거다.
- 사람들 앞에서 그렇게 말해서는 안 되네. 그 말이 학장 귀에 들어가면 호된
질책을 받을 거네.
- 당신은 합리적인 사람입니다. 당신에게 지루한 소송을 계속할 만한 돈이 없
다는 걸 압니다.
잘못된 유추
말에게 억지로 물을 마시게 할 수 없듯이 아이들에게 공부를 강요할 수 는
없다. 우리는 아이들에게 공부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줄 수 있을 뿐이다.
관련자료 숨기기
논증에서 옹호되는 결론에 관련된 자료를 은폐하는 행위
광고에서 경쟁 제품들도 자신의 제품만큼 효과적이라고 말하지는 않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